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JavaScript 기초

웹/JavaScript

by 초띠 2023. 3. 25. 00:10

본문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대소문자구분

 

한 줄에 명령문 1개 => 세미콜론 필수 x

한 줄에 명령문 2개 이상 => 세미콜론으로 구분 필요

 - 버그 예방 차원에서 다 붙이면 좋음

 

스페이스, 탭, 줄바꿈 문자는 공백으로 간주

주석은 다른 언어와 동일, 스크립트 실행 시 버려짐

 

변수 선언

var - 중복선언 가능, 값의 재할당 가능, 초기화 없이 선언만 한 경우 선언 자체 무시

let - 중복 선언 불가능, 값의 재할당 가능

const - 중복 선언 불가능, 값의 재할당 불가능

 

스코프

스코프란 유효한 참조 범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는 함수 내부에서만 참조가 가능하다.

이 경우 변수의 스코프는 함수 내부로 한정 된다.

 

자바스크립트는 var로 선언한 변수의 스코프와 let, const로 선언한 변수의 스코프가 다르다.

 

변수명 : 식별자(identifiers)

문자, 밑줄, 달러, 숫자로 시작 가능 문자에는 대소문자 모두 포함

 

구조분해할당(비구조화할당) 😡

구조 분해 할당 구문은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JavaScript 표현식입니다.

정의는 이렇지만 구문으로 보는 게 이해가 더 빠름

 

(1)

var x = [1, 2, 3, 4, 5];
var [y, z] = x;
console.log(y); // 1
console.log(z); // 2

 

(2)배열

var foo = ["one", "two", "three"];

var [red, yellow, green] = foo;
console.log(red); // "one"
console.log(yellow); // "two"
console.log(green); // "three"

 

심화된 코드가 많지만 일단 이거까지 알아두자

 

undefinded

지정된 초기 값 없이 var 혹은 let 문을 사용해서 선언된 변수는 undefined 값을 갖습니다.

선언되지 않은 변수에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 ReferenceError 예외가 발생합니다.

 

데이터형

 

  • 7가지 원시 데이터 형
    1. Boolean. true와 false
    2. null. null 값을 나타내는 특별한 키워드. (JavaScript는 대소문자를 구분하므로, null은 Null, NULL 혹은 다른 변형과도 다릅니다.)
    3. undefined. 값이 정의되어 있지 않은 최상위 속성.
    4. Number (en-US). 정수 또는 실수형 숫자. 예: 42 혹은 3.14159.
    5. BigInt (en-US). 임의 정밀도의 정수. 예: 9007199254740992n.
    6. String. 문자열. 예:"안녕"
    7. Symbol. (ECMAScript 2015에 도입) 인스턴스가 고유하고 불변인 데이터 형.
  • 그리고 Object

 

객체 : 값을 위한 컨테이너

함수 : 애플리케이션이 수행할 수 있는 절차

 

자료형 변환

 

JavaScript는 동적 형지정(정형) 언어.

이는 변수를 선언할 때 데이터 형을 지정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

또한 데이터 형이 스크립트 실행 도중 필요에 의해 자동으로 변환됨

숫자와 문자열 값 사이에 + 연산자를 포함한 식에서, JavaScript는 숫자 값을 문자열로 변환

'+' 외의 다른 연산자는 문자열로 변환하지 않음

 

리터럴

JavaScript에서 값을 나타내기 위해 리터럴을 사용합니다. 이는 말 그대로 스크립트에 부여한 고정 값으로, 변수가 아닙니다.

 배열 리터럴, 불리언 리터럴, 숫자 리터럴, 부동 소수점 리터럴, 문자열 리터럴, 정규식 리터럴, 객체 리터럴이 있습니다.

내가 이해한 대로라면 변수의 타입을 정하는 것..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