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GRP 란?>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전에 먼저 IGRP란 시스코사에서 개발한 거리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같은 거리 벡터 라우팅인 RIP와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RIP에서 15개로 제한되어 있던 홉 문제를 255개로 확장하여 극복했습니다.
2. RIP의 메트릭은 홉 수이고, IGRP는 기본적으로 지연과 대역폭을 사용하여 추가로 신뢰성, 로드, MTU 등을 메트릭 계산에 포함 시킵니다.
3. IGRP는 네트워크 송신지와 수신지 사이에서 비용이 동일하지 않은 경로를 6개까지 유지할 수 있습니다. RIP는 모든 경로들이 동일한 비용이어야 합니다.
EIGRP는 IGRP의 상위호환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거리벡터 알고리즘에 기초하지만 링크 상태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형 라우팅 알고리즘입니다.
기본적으로 자동 경로 축약을 사용합니다.
AS 단위로 구분됩니다. 프로세스 아이디로 AS 번호를 사용합니다.
홉카운트 기반의 거리 벡터가 아닌 대역폭과 지연, 신뢰성 등 여러 지표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를 설정하고, 최적 경로를 사용할 수 없을 떄를 대비하여 대체 경로까지 설정합니다.
IGRP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최대 홉카운트가 224입니다.
Holddown timer를 이용하는 RIP와 달리 DUAL을 기반으로 경로 계산을 해서 루프를 방지한다.
DUAL은 인접 라우터에서 수신한 네트워크와 그 네트워크 메트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합니다.
또한 EIGRP는 RIP와 달리 라우팅 테이블 갱신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분적 업데이트와 제한된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
부분적 업데이트 :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전체 라우팅 테이블이 아닌 변경사항만 잘라 보내는 것
제한된 업데이트 : 부분적 업데이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라우터들에게만 메시지를 보내는 것
EIGRP에서도 hello packet을 보내 이웃을 형성합니다. 그런데 네트워크의 링크 속도에 따라 이웃 관계를 유지하는 시간이 다릅니다.
만약 링크 속도가 T1(1.544Mbps)이하라면 60초를 주기로 hello packet을 보내고 180초동안 이웃을 유지합니다. 만약 이상이라면 5초를 주기로 hello packet을 보내고 15초 동안 이웃을 유지합니다.
<EIGRP의 패킷>
총 5가지의 패킷이 있습니다.
Hello : 이웃 관계 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보내는 패킷
Query :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패킷 (네트워크 장애 발생과 같은 상황에 사용)
Reply : Query에 응답하기 위해 요청받은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는 패킷
Update :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는 패킷 (전송 후 ACK를 받지 못하면 최대 16번 다시 보내고, 응답이 없으면 이웃을 끊는다.)
Acknowledgement(ACK) : 각각읭 패킷에 대해 수신을 확인했다는 응답 패킷
<EIGRP 패킷의 구성 내용>
Version : EIGRP의 버전
Opcode : 패킷의 종류를 지정
- 0x01 : Update
- 0x03 : Query
- 0x04 : Reply
- 0x05 : Hello
- 0x06 : IPX SAP
Checksum : 오류 검출 및 확인
Flags :
첫번째 최하위 비트 - 새 이웃 관계를 수립할 때 라우팅 정보 업데이트의 첫번째를 알린다.
두번째 최하위 비트 - 시스코 장비간의 신뢰 멀티캐스팅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조건부 비트. RTP에 사용된다.
Sequence Number : 순서 번호, RTP에서 신뢰성있는 EIGRP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사용
Acknowledgement Number : 이웃에서 수신한 마지막 32비트. RTP에서 신뢰성있는 EIGRP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사용
Autonomous System Number : EIGRP AS 번호
Type-Length-Value :
- 16비트의 타입 필드
- 16비트의 길이 필드
- 상황에 따라 가변적인 밸류 필드
..
<EIGRP DUAL>
위에서 짧게 언급했지만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diffusing update algorithm
EIGRP를 사용하는 라우터가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알고리즘입니다.
Successor : 가장 최적의 경로를 가지는 이웃 라우터로, 이 라우터에 대한 항목이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
Feasible Distance(FD) : 최적 경로가 가지는 메트릭 값
Feasible Successor : Successor의 백업 라우터, 석세서가 이용 불가능일 때 빠르게 대체
Advertised Distance(AD) : 이웃 라우터부터 목적지 네트워크까지의 메트릭 값
Feasible Condition : 임의의 라우터가 FS가 되기 위한 조건
<EIGRP 메트릭 계산>
메트릭 = 대역폭 + 지연
<EIGRP 명령어>
전역 설정 모드
# router eigrp [process ID(AS번호)]
서브 설정 모드 network
# network [Address(연결된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주소)] [Wildcard Mask]
# no auto-summary
EIGRP 라우팅 프로토콜 패킷 트레이서 실습 (0) | 2023.06.09 |
---|---|
라우팅 재분배 (redisrtibute) (0) | 2023.06.09 |
동적 라우팅 OSPF (0) | 2023.06.03 |
패킷트레이서 패킷 충돌 (0) | 2023.06.02 |
패킷 트레이서 라우팅 RIP, 라우팅 루핑 (0) | 2023.05.31 |